반응형
부처님오신날 날짜가 나라마다, 사람마다 다르게 기억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부처님오신날(석가탄신일)이 언제인지 기억하는 방법이 사람마다 다른 가장 큰 이유는, 이 날의 기준이 음력과 양력 그리고 문화권별 달력 체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 한국, 중국, 대만 등 북방불교권에서는 음력 4월 8일을 부처님오신날로 기념합니다. 한국에서는 이 음력 날짜를 매년 양력으로 환산해 공휴일로 지정합니다. 그래서 해마다 양력 날짜가 달라집니다
-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음력을 폐지하고 양력 4월 8일을 부처님오신날(하나마쓰리)로 삼았습니다. 그래서 한국·중국보다 한 달가량 빠릅니다
-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등 남방불교권에서는 음력 4월 15일 보름날을 '웨삭(Vesak) 데이'로 정해 부처님 탄생, 성도, 열반을 함께 기립니다. 이 역시 매년 양력으로 환산하면 날짜가 달라집니다
- 국제적 기준으로는 1999년 유엔이 남방불교의 전통을 따라 음력 4월 15일, 즉 5월 중 보름달이 뜨는 날을 '유엔 베삭 데이'로 지정했습니다
이처럼 부처님오신날의 날짜가 나라마다, 문화권마다 다르고 해마다 양력 환산일이 달라지며, 어떤 사람은 음력으로, 어떤 사람은 양력으로 기억하는 차이가 생긴 것입니다. 또한, 불교가 전래되는 과정에서 각국의 달력 체계(인도력, 중국력, 티베트력 등)와 역법 해석의 차이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부처님오신날에 열리는 주요 행사
부처님오신날은 불교 최대의 명절로,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전통과 현대적 행사가 펼쳐집니다.
- 연등회 및 연등행렬: 전국 사찰과 거리에서 연등(연꽃 모양 등)을 밝히고 연등행렬을 합니다. 연등은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를 상징하며, 밤에는 화려한 불빛으로 축제 분위기를 만듭니다
- 관불(관욕) 의식: 아기 부처님 상에 향수나 물을 끼얹는 의식으로, 부처님 탄생을 축하하고 자신의 마음을 정화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 풍습은 인도와 남방불교권에서도 전해집니다
- 탑돌이: 사찰의 탑을 돌며 가족과 개인의 평안을 기원하는 전통 풍습입니다. 밤새 탑을 돌며 소원을 비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 공양 및 시주: 불자들이 절에 가서 스님과 대중에게 음식, 생활용품 등을 공양하고, 자비를 실천합니다. 남방불교권에서는 스님에게 공양 올리기가 가장 중요한 행사입니다
- 문화행사와 공연: 연등축제, 불교 음악회, 전통놀이, 탑돌이, 민요(등타령 등)와 같은 민속놀이, 시절음식 나누기(검은콩, 느티떡, 미나리강회 등)도 함께 진행됩니다
- 사회적 봉사: 일부 지역에서는 병원, 양로원, 탁아소 등을 방문해 공양을 베푸는 자선 활동도 이뤄집니다
- 국제적 행사: 유엔 등 국제기구와 세계 각국의 불교도들이 부처님오신날을 기념하는 메시지와 행사를 진행합니다
- 부처님오신날의 날짜와 기억 방식이 다른 이유는 음력·양력 환산, 각국의 달력 체계, 불교 전래 과정에서의 문화적 차이 때문입니다.
- 이날에는 연등회, 관불의식, 탑돌이, 공양, 문화행사, 자선활동 등 다양한 불교 전통과 축제가 펼쳐집니다.
이처럼 부처님오신날은 불교권 국가마다 날짜와 행사 방식은 다르지만, 부처님의 탄생을 기리고 자비와 평화를 실천하는 공통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전라북도 부처님오신날 행사 안내 를 찾아봤습니다.
전라북도에서는 부처님오신날(2025년 5월 15일)을 맞아 전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봉축 행사와 문화 체험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주요 행사와 장소를 아래에 정리합니다.
전주 전라감영 일대 ‘꿈타는 연등회’ 및 주요 행사
- 연등축제 및 연등행진
- 일시: 4월 26일(토) 19:30~21:00
- 장소: 전라감영 → 한옥마을 → 오목대 구간
- 내용: 화려한 연등거리행렬, 시민과 관광객 모두 참여 가능
- 전통문화체험 및 어린이 큰잔치
- 일시: 5월 11일(일) 10:00~ (전북어린이큰잔치, 문화체험 부스 운영)
- 장소: 전라감영 일대
- 내용: 연등 만들기, 한지 소원번 쓰기, 지화(종이꽃) 만들기, 부처님 생일 수수팥경단 만들기 등 13개 문화체험 부스
- 아미따유 페스티벌(청소년 경연대회)
- 일시: 5월 10일(토) 19:00, 본선 및 축하공연 5월 11일
- 장소: 전라감영 특설무대
- 내용: 청소년 댄스·노래 등 경연, 본선 진출팀 공연 및 시상
- 무료 공양 나눔
- 일시: 5월 11일(일) 17:00~ (비빔밥 1000인분, 짜장밥 1000인분)
- 장소: 전주 황방사, 전북불교회관
- 봉축 법요식
- 일시: 5월 11일(일) 18:00~
- 장소: 전라감영
- 내용: 부처님오신날을 기념하는 공식 법요식
전라북도 주요 사찰 봉축 법요식
- 금산사(김제), 남고사(전주), 관음사(익산) 등
- 일시: 5월 15일(목) 부처님오신날 당일
- 내용: 각 사찰별로 봉축 법요식, 관불의식, 연등 점등, 다양한 문화행사 진행
거리 연등 및 지역 행사
- 거리 연등 장식
- 4월~5월 한 달간 전주 남부시장~팔달로~버스터미널, 송천동, 아중역, 팔복동, 혁신도시 등에 약 5,000여 개의 거리 연등과 600여 개의 LED 연등이 설치되어 축제 분위기를 조성
- 특별 나눔 및 자선행사
- 군장병·교도소·지역 소외계층을 위한 봉축 위문 법회와 나눔 행사도 각 지역별로 진행
요약 추천 행사 장소
행사명일시장소주요 내용
꿈타는 연등회 연등행진 | 4월 26일(토) 19:30 | 전라감영~한옥마을 | 연등거리행렬, 시민 참여 |
전통문화체험/어린이큰잔치 | 5월 11일(일) 10:00 | 전라감영 일대 | 연등·지화 만들기, 소원쓰기 등 |
아미따유 페스티벌 | 5월 10~11일 | 전라감영 특설무대 | 청소년 경연, 본선·시상·공연 |
무료 공양 나눔 | 5월 11일(일) 17:00 | 황방사, 불교회관 | 비빔밥·짜장밥 1000인분 무료제공 |
봉축 법요식 | 5월 11일(일) 18:00 | 전라감영 | 공식 법요식, 연등행렬 |
사찰 봉축 법요식 | 5월 15일(목) | 금산사 등 주요사찰 | 관불의식, 법요식, 문화행사 |
전주 전라감영 일대의 연등축제와 문화체험, 무료 공양, 그리고 금산사 등 사찰의 봉축 법요식 등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있으니, 일정에 맞춰 방문하면 전라북도만의 특별한 부처님오신날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이번 5월에는 날씨도 따뜻해지고 돌아다니기 좋을것같습니다.
야간에 이루어지는 연등행사, 연등행렬 그리고 사찰에서 문화행사를 찾아가 보고 좋은 시간 가져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