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근 주식을 하면서 상장폐지가 된 주식이 두개나 됩니다.

by Teatreehome 2025. 4. 16.
반응형

 

 

시작은 조심스러웠습니다.

초보자가 주식시장. 그러니까 미국주식이 한참 잘 되던 작년 2024년에 나도 한 번 해보자! 해서 시작했습니다.

 

한 때는 우와 이게 무슨일이야 하며 빨간불이 들어오는 기분좋은 날도 있었지만

나도 회사를 탐색해보자, 하며 찾았던 몇몇 회사 중 두개나 상장폐지를 겪게 되었습니다.

 

 

피닉스모터(Phoenix Motor Inc)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던 피닉스모터(Phoenix Motor Inc., 티커: PEV)는 최근 나스닥(Nasdaq)에서 상장폐지(Delisting) 결정을 받았고, 이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아쉬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아래에 피닉스모터의 회사 정보, 사업 내용, 최근 상장폐지 사유와 향후 전망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1. 회사 개요 및 사업 내용

  • 설립 및 위치: 2002년 설립,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 위치
  • 주요 사업: 상업용 전기차(버스, 트럭 등) 및 전기 구동 시스템 개발·제조. 주로 중형 플릿(공공기관, 학교, 공항, 호텔 등) 시장을 타깃으로 함
  • 제품군: 전기 셔틀버스, 스쿨버스, 유틸리티 트럭, 전기 지게차, 충전기 등. EdisonFuture, Phoenix Motorcars 브랜드로 판매
  • 직원 수: 약 30명
  • 주요 경영진: CEO Xiaofeng Denton Peng, CFO Li Ming Yung 등

2. 최근 실적 및 재무 현황

  • 매출: 2023년 기준 약 312만 달러, 2024년에는 3,000만~3,100만 달러로 10배 성장 전망
  • 수익성: 2023년까지는 적자였으나, 2024년에는 흑자 전환(순이익 플러스) 목표
  • 주가 흐름: 2025년 4월 기준 주가는 0.23~0.34달러 수준, 1년간 70% 이상 하락, 상장 이후 약 94% 하락
  • 시가총액: 약 1,100만~1,560만 달러

3. 상장폐지(Delisting) 사유 및 현황

  • 상장폐지 사유:
    • 나스닥 최소 주가(1달러) 미달 지속
    • 2024년 연례 주주총회 미개최 등 기업지배구조 규정 위반
  • 진행 상황:
    • 2025년 4월 15일부로 나스닥 거래 정지 및 상장폐지 결정
    • 회사는 나스닥 청문회 패널에 공식 항소(appeal)했으나, 이미 두 차례 유예기간을 받았던 터라 상장 유지 가능성은 낮음
    • 상장폐지 후 OTC(장외시장) 거래로 전환 예정
  • 대응 방안:
    • 역분할(Reverse Stock Split): 1:1.5~1:5 비율로 주식 병합 추진, 주가 부양 목적
    • 주주총회: 2025년 4월 18일 애너하임 본사에서 개최 예정, 역분할 등 안건 처리
    • 사업 지속 의지: CEO는 "운영 및 성장 전략은 변함없으며, 투자자와의 투명성 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

4. 최근 주요 사업 및 이슈

  • 사업 확장: 2023년 파산한 Proterra의 전기버스 사업부 인수, 자율주행 전기버스 개발, 중국 EV 생산기지 확보를 위한 1억4천만 달러 규모 M&A 펀드 조성 등 활발한 사업 확장 시도
  • 기술력: 누적 6,000만 마일 이상의 전기차 운행 실적, 연료비 3,000만 달러 이상 절감 효과
  • 재무적 어려움: 최근 600만 달러 대출 유치, 자금 조달 및 생산능력 확장에 집중

5. 투자자 관점 요약

  • 상장폐지로 인한 영향: 나스닥에서 OTC로 이동하면 유동성 저하, 거래량 감소, 기관투자자 관심 하락 등 투자환경이 악화될 수 있음
  • 회사의 대응: 역분할, 주주총회 개최, 사업 확장 등으로 재상장 및 성장 모멘텀 확보를 시도 중이나, 단기간 내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
  • 향후 전망: 전기차 시장 성장성, 사업 확장 노력은 긍정적이나, 상장폐지와 재무적 불안정성, 주가 변동성 등 리스크가 매우 큼

 

피닉스모터는 미국 상업용 전기차 시장에서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이지만, 최근 나스닥 상장폐지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회사는 OTC 시장에서 거래를 이어가며 재상장 및 사업 정상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투자 리스크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그래도 전기차 산업 내에서의 입지와 사업 확장 의지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셰이프웨이스 홀딩스(Shapeways Holdings)

 

회사 연혁 및 주요 정보

설립 및 성장

  • 설립: 2007년, 네덜란드 필립스(Philips) 디자인 부서의 사내 벤처로 시작. 창업자는 Peter Weijmarshausen, Robert Schouwenburg, Marleen Vogelaar.
  • 사업 모델: 3D 프린팅 마켓플레이스 및 주문형 제조 서비스. 사용자가 3D 파일을 업로드하면 다양한 소재(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로 출력해주는 서비스 제공. 디자이너가 자신의 디자인을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도 운영.
  • 미국 진출: 2012년 뉴욕 퀸스에 대형 3D 프린팅 공장 설립.
  • 상장: 2021년 4월, SPAC(특수목적합병법인)인 Galileo Acquisition Corp와 합병을 통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 티커는 SHPW

주요 사업 및 실적

  • 2021년 기준 누적 2,000만 개 이상의 3D 프린팅 제품 생산.
  • 2023년 매출 약 3,446만 달러, 그러나 영업손실 3,152만 달러, 순손실 4,391만 달러로 적자 지속
  • 2022~2024년 매출 성장 정체, 수익성 악화, 자본잠식 심화.

주가 변동 및 상장폐지 과정

주가 흐름

  • 상장 초기(2021년) 1달러 이상에서 거래 시작.
  • 2022년 7월 이후 1달러 미만으로 하락, 2023~2024년 지속적으로 1달러 미만에서 거래
  • 2024년 7월 파산 직전 0.01~0.05달러 수준까지 폭락, 1년간 90% 이상 하락

상장폐지 및 파산

  • 2024년 5월: 분기보고서 제출 지연 등으로 나스닥(이전 NYSE) 상장규정 위반 통보
  • 2024년 7월 2일: 미국 델라웨어 법원에 챕터7(청산형) 파산 신청, 모든 사업 중단 및 자산 청산 절차 돌입
  • 경영진 전원 사임: CEO, CFO, COO, 이사회 전원 사임. 파산관재인이 자산 청산 및 채권자 배분 담당
  • 주요 부채: 3DP Custom Manufacture, LLC로부터 66만9500달러 단기 대출(2024년 6월), 만기 직전 파산으로 상환 불이행
  • 상장폐지: 파산과 동시에 나스닥에서 상장폐지(Delisting) 결정, 주식은 OTC(장외시장)에서 거래

상장폐지 및 파산의 원인

  • 지속적 적자: 2021년 상장 이후 매출 성장 정체, 대규모 영업손실 및 순손실 지속
  • 자본잠식: 2023년 기준 자본 60% 이상 감소, 부채비율 급등
  • 주가 하락: 1달러 미만 장기 지속, 거래소 상장유지 요건 미달
  • 재무보고 지연: 분기보고서 등 공시 지연으로 상장폐지 사유 추가
  • 단기 부채 상환 불이행: 2024년 6월 단기 대출 상환 불이행, 유동성 위기 심화
  • 사업모델 한계: 3D 프린팅 시장 성장 둔화, 경쟁 심화, 수익성 악화.

파산 이후 구조조정 및 브랜드 존속

  • 2024년 7월: 네덜란드 자회사(Shapeways BV)는 현지 경영진과 창업자들이 인수, Manuevo BV로 재출범
  • 2024년 12월: Manuevo가 미국 Shapeways의 브랜드 및 지적재산권(IP) 인수, Shapeways 브랜드로 사업 재개
  • Thangs 인수: 2024년 12월, 3D 모델링 커뮤니티 Thangs 인수, 기존 마켓플레이스 고객 유치 시도

요약

  • 셰이프웨이스 홀딩스는 3D 프린팅 주문형 제조 플랫폼으로 2007년 설립, 2021년 상장.
  • 2024년 7월, 지속적 적자와 유동성 위기로 챕터7 파산 및 상장폐지.
  • 주요 원인: 매출 성장 정체, 대규모 적자, 자본잠식, 단기 부채 상환 실패, 상장요건 미달.
  • 파산 후: 네덜란드 자회사 중심으로 브랜드와 일부 사업은 재출범, 미국 법인은 청산.
  • 투자자 영향: 주가 폭락, 상장폐지로 인한 유동성 악화, 투자금 회수 어려움.

이처럼 셰이프웨이스는 혁신적인 3D 프린팅 플랫폼이었으나, 시장 환경 변화와 재무적 한계로 상장폐지와 파산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 3D 프린터가 너무 신기하고 대단하다는 생각을 가졌고, 이걸로 어디까지 영역이 발전할까 라는 생각이 있었던 것 같아.

B to B 로서의 확장이 잘 되었다면 좋았겠지만, 장비 자체가 다수 보유해야하는 물건도 아니고 개인의 구매가 활발한 아이템도 아니었던 것 같아, 매출은 나지만,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라면 제대로 회사가 자라고 있지 못하는 것이었겠지.

 

* 이렇게 두개의 회사를 찾아 선택해봤고, 주식매수도 하면서 긍정적인 면만 보려고 했던 모습을 돌이켜보게 되었어.

상장폐지가 두 번이나 있어서 많이 아쉬웠지만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보게된다.